안녕하세요~


이번글에서는 한옥의 멋이 물씬나는 

'고당'이라는 한옥 카페를 소개할까해요~


참고로 '기와집 순두부'에서 걸어서 1~2분 거리 정도 되는거 같아요 ㅎㅎ







고당은 커다란 간판이 있어서 찾기 쉬우실거에요






반대편 건물과 간판을 잘 확인 하시고 

입구를 찾아 들어오셔요~







주차장도 꽤나 넓죠?!









아래 사진을 기준으로 카페 입구와 식물들을 볼 수 있는 곳이 나뉘어져 있어요~






카페 들어가기전에 식물이 있는 곳을 둘러 봤어요~





















구경을 다하고 드디어 카페로 !




카페 정문에 들어서자 마자 

'아! 여기가 한옥이구나~!'

하면서 감탄했어요 ㅎㅎ


이곳 고당은 전문 도편수 감독하에 지어진 한옥을 

개조해서 카페로 이용하고 있다고 해요.

그래서 조선시대 사대부 한옥을 정말 그대로 재현해 놓은

건축학적으로도 굉장히 의미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정문을 들어오시고 좌측으로 가셔서 먼저

빵과 차, 커피를 주문을 하셔야 해요~

주문을 하고 조금 기다리면 자리를 안내해 드린답니다~








빵 종류가 굉장히 많아요 ~~~
























































커피와 티 종류는 메뉴판을 보고 고르시면 돼요~




























주문을 기다리는 동안 주변을 둘러봤어요 ~









옷가게도 있네요?? ㅎㅎ









저는 밀크티와 빵 하나를 주문하고 

자리를 안내받았어요~ ㅎㅎ








저희가 안내받은 곳이에요~









방안으로 자리를 잡으니

창 밖에 꽃들이

있었어요 ~~~









참 신기했던건 

좌측 상단을 보시면 문을

독특한 방식으로

고정시켜놨어요 ㅎㅎㅎ

(이게 전통방식인건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는데, 

나중에 한 번 알아봐야겠어요!! ㅎㅎ)








문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새들에게는 보금자리었나봐요 ㅎㅎ


참 아파트와는 달리

한옥은 뭔가 상생하고 순환하는 느낌을 주는 가옥 같았어요

여름에는 앞, 뒷 문을 열어놔 계속 바람을 순환시키고

겨울에는 온돌을 이용해 열을 순환시키고

마당을 마련해 식물과 곤충들을 상생시키고

ㅎㅎ


(아래 그림에서 새가 잘 안보이긴 하는데 한 번 찾아보세요!! ㅎㅎ)






방문하시기전에 

알쓸신잡 영상을 보고 가시면

더 재미있게 한옥을 관찰 할 수 있으실거 같아

영상 첨부해 놓을게요!












[글 래퍼런스]

http://m.blog.daum.net/kfs4079/17212606?categoryId=979625












안녕하세요~


이번글에서는 남양주 조안면에 있는 '기와집 순두부'라는 음식점을 

소개해보려고 해요~



저는 평일 오후 2:30분즘 갔을 때는 사람이 별로 없었어요~

그런데 주말이나 점심, 저녁 때에는 웨이팅이 필수로가 해요 ㅜㅜ


방문하시기 전에 아래 영업시간을 

꼭 확인해주세요!


3월~10월: 10:00 ~ 21:00

11월~2월: 10:30 ~ 21:00






기와집 순두부 집은 남양주에서도 

조안면에 위치하고 있어요!


구리에서 출발하면 대략 20분이면 도착하는거 

같았어요~ (만약 저녁시간 때 출발하면 팔당에서 막혀서 훨씬 많은 시간이 소요 될 수도 ㅜㅜ)



<사진1>



기와집 순두부에 도착하시면 아래 팻말이 보이실거에요!





위에 팻말 반대편에 아래와 같이 1,2 번 집이 있는데,

1번 집 바로 반대편에 입구가 있어요!








입구로 들어오시면 정면에






화장실과 출구라는 안내판이 있는데

좌측방향으로 가시면 주차장에 많이 있어요







주차장이 꽤 넓죠?

그런데 주말이나 점심, 저녁시간 때에는 주차장이 가득 찬답니다 ㅜㅜ


아래 사진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시면 입구가 나와요!





뚜둥! 기와집 순두부 '정문' 등장~

기와집 순두부는 31년째 운영되고 있는 식당이라고 해요!







정문으로 들어오시면 계산하는 곳이 나와요~

정문으로 들어오시자마자 우측으로 가시면 되요~

보통은 어디로 가면 된다고 안내해주시는데

사람이 업을때에는 아무곳에나가서 앉으면 되는거 같아요~~








저는 7, 8번 방에 앉았어요~






아래 메뉴에요.


순두부 백반이 가장 인기가 많아서

순두부백반 2개와 수육하나를 시켰어요~


콩은 강원도 양구에서  

구매한다고해요~

국내산!!!


(도토리묵도 맛있다고 하는데 

충주에서 많이 먹어서 ㅎㅎ)





주류 판매도 따로 하고 있네요~ ㅎㅎ

희한하게 안동소주를 팔고 있네요 ㅎㅎ

(왜 안동소주를 판매하는지 나중에 여쭤봐야겠어요 ㅎㅎ)





주문한 음식들이 나왔어요!






이번에 순두부를 먹으면서 두부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유럽이나 미국에 치즈가 있다면 

우리나라에는 두부가 있어요!


서양 사람들은 두부를 '살찌지 않은 '차즈'라고 인식하고 있다고해요 ㅎㅎ


 

두부는 콩으로 만드는 음식이에요.

콩은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고 소화흡수율이 좋아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알맞은 음식이에요!

(특히 장염에 걸린사람이 먹을 수 있는 몇 안되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두부는 물에 불린 콩으 맷돌로 갈아 끓인 다음 베주머니에 넣고 짜서나온 콩물에 

간수를 넣고 굳혀 만든다고 해요~






두부를 만들때 수분함량, 가열시간, 응고제 종류에 따라 

판두부, 연두부, 순두부로 나뉜다고 해요


콩에는 악성종양을 억제시켜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특히 여성에게 더 굉장히 좋은 음식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또한 샤포닌이 포함되어 있어 지방 분해를 촉진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많이 이용된답니다!


주의!!

두부는 시금치와 궁합이 좋지 않다고 해요~

시금치에 함유된 옥살산이 두부의 칼슘과 결합하면 

몸에서 칼슘 흡수를 줄이고 결석증을 유발한다고 해요!





저는 순두부 자체도 맛있었는데

특히 아래 간장과 간장이 스며든 파를 

순두부랑 같이 먹었을 때 정말 맛있더라구요.







아주머니께 혹시 간장을 어떤걸 쓰시냐고 여쭤봤더니

조선간장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고 하셨어요~


간장 또한 된장과 같이 콩을 이용한 음식인데요.

메주를 각종 재료와 장독대에 저장시켜

발효를 시키면 간단이 된다고 해요!






콩으로만 만든 메주를 이용하는 것이 조선간장이고, 

콩 외에 밀 등을 이용해 만든 메주를 이용하는 것을 왜간장 이라고 해요.


조선간장은 보통 집간장, 국간장이라고 부르고,

일본식 방식이라고 알려진 왜간장은 양조간장(소스, 양념장)이라고 해요~






그외 각종 나물과 반찬들도 맛있는데

특히 겉절이가 제일 맛있었던거 같아요 ㅎㅎ





아 그리고 이곳에는

굉장히 많은 제비집들이 있어요

밥먹을때 제비들을

볼 수 있는데


또 다른 재미었어요!






이곳은 수요미식회에서도 소개 됐었는데요~

아래 영상을 보시고 

더 생동감있게 '기와집 순두부' 식당을

살펴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서 

영상 첨부했어요 ㅎㅎㅎ





아! 참고로 이 주변에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유적지도 있으니

한 번 방문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글 래퍼런스]

http://month.foodbank.co.kr/section/section_view.php?secIndex=2684&page=&section=002015

https://namu.wiki/w/%EB%91%90%EB%B6%80

https://www.news1.kr/articles/?3594956

http://www.foodnmed.com/news/articleView.html?idxno=14988



[사진 래퍼런스]

<사진1>

https://www.nyj.go.kr/main/548

'음식탐방 > 남양주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시-평내]1.김삿갓밥집  (0) 2020.10.25
[남양주-진건읍]1.물 맑은 집  (0) 2020.07.19
[남양주-조안면 코스]2.고당  (0) 2020.05.22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교현,안림동 (근방)에 있는 운치있는 카페를 소개해드리려고해요~





통나무 묵집에서는 대략 10분정도 소요가 되는데요.

이곳이 음식탕방이라고 되어 있어서 언급은 안했는데 

통나무 묵집에서 호수로 1010카페를 가는 길에 계명산휴양림이 있는데

나중에 기회가 되면 계명산휴양림에 대한 포스팅도 하려고 해요.

정말 좋은 곳이거든요!







카페간판이 크지 않아서 그냥 지나갈 수 있는데,

'횟집푸른호수'라는 간판을 찾으시면 되요~









주차할 곳이 있긴한데 보통 주차공간이 협소해서







맞은편 주차장에다 주차를 하시면 됩니다~

맞은편 주차장을 보시면 충주호를 볼 수 있어요!





충주호는 1985년 충주댐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 호수이자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담수호라고 합니다.

본래 충주호의 이름을 두고 충주시와 제천시 사이에 분쟁이 있었다고 해요.

충주시에서는 충주호, 제천시에서는 청풍호, 단양군에서는 단양호라고 하는데 다 같은 호수를 지칭한다고 합니다.  








카페 내에서 판매하는 메뉴는 다른 카페와는 크게 다를건 없었어요.

충주니까 애플유자 정도(?)가 못보던 메뉴더라구요.








아! 한 가지 특이했던건 에그타르트였어요!

파리바게트나 다른 곳에서 파는 에그타르트는 보통 겉에 둘러싼 빵 부분이 쿠키로 되어 있거나

딱딱하게 되어있었던것 같은데,

이곳에서 파는 에그타르는 부드러우면서 바삭했어요.


마카오 여행을 갔을때 유명한 에그타르트를 먹어보았는데, 

그곳에서도 빵 부분이 부드럽고 바삭해서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었거든요!








에그타르트 3개랑 아메리카노 캐모마일을 주문했는데,

서비스로 빵 2개를 더 주셨어요 !!







1층 내부 사진들이에요







1층에서도 호수를 바라보며 먹을 수 있는데









2층으로 올라가시면








더 좋은 뷰로 호수를 구경할 수 있어요.








특히 2층 야외 테라스에서 호수를 바라보면,

차 맛을 더욱 풍미있게 만들어 줄 것 같았어요.

(이날은 비가 와서 야외 테이블 중에서도 파라솔이 있는 곳만 사용이 가능했는데,

파라솔은 3~4개 밖에 없었던거 같아요 ㅜㅜ)




이곳 근처에도 음식점들이 많기 때문에 근처에서 식사하시고 이곳을 방문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하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충주시내에서 이곳으로 오는길에 보는 경치들이 너무 좋아서 

드라이브 코스로 안성맞춤인 것 같다고 생각했어요!


이 근처에 계명산휴양림이 있는데, 이곳도 꼭 포스팅 하도록 할게요!









[글 래퍼런스]

http://www.chungjutour.co.kr/fplace/chungjuho.html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충주 교현, 안림동 지역에 있는 이색적인 음심점을 소개해드리려고해요~

1박2일 촬영장소로도 알려진 통나무 묵집이에요 ~






한국교통대에서 대략 20분 정도 소요가 되네요~




충주에서 메밀관련 음식이 유명하긴 하지만 다른곳에서도 먹을 수 있으니,

이번엔 도토리묵밥을 먹어보려 이곳에 왔어요~

(특히 도토리묵은 충주에서 유래된 전통음식이라고 하네요!) 






충주에 있는 여러 묵밥집 중에서도 통나무 묵집은 

20년 넘게 대대로 전통을 이어오는 음식점이라고 해요~







입구를 잘 못찾으실 수 있는데, 아래 사진 오른쪽 부분에 피라미드 같이 생긴 건물에서 해당 화살표된 곳으로 오시면 되요~







식당에 들어서자 한옥 고유의 멋을 느낄 수 있었어요. 

사장님의 남편되시는 분께서 한옥 짓는 일을 하신다고해요~


뒤에 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모습도 보기 좋았답니다~

특히 이곳에서는 직접 기른 야채와 장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 같았어요!







식당 손님들이 많은 경우에는 바깥에서도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준비해놨더라구요~

이 정자는 안동에 있던 정자를 그대로 들고 왔다고 하더라구요~









특히 이제 날씨도 좋아져서 바깥에서 음식을 드시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았어요~







식당 내부로 들어오셔서 오른쪽으로 가시면 따로 룸이 있어요








이 룸은 보통 예약을 하거나 인원이 많은 사람들이 와야 자리를 내어줄 수 있다고 해요~







식당 내부로 들어와서 왼쪽으로 가시면 앉아서 먹을 수 있도록 방이 마련되어 있어요~





도토리묵밥, 비지장, 도토리빈대떡을 주문했어요~

나중에는 꼭 청국장을 시켜먹어보려고해요. 

충추식 청국장찌개는 새콤하게 익은 깍두기를 넣고 끓인다고해요~ 


도토리 같은 경우는 충주의 인근지역에서 도토리를 공수해 묵을 직접 만든다고 하구요



도토토리 묵밥, 도토리 빈대떡을 주문했으니 도토리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1. 중금속 배출

도토리에는 아콘산이라는 성분이 풍부해 채내 독소 및 중금속을 배출하는데 좋다고 해요 

특히 미세먼지로 인해 쌓이는 중금속을 배출하는데 탁월하다고 합닞다


2.다이어트

도토리는 낮은 칼로리를 갖고 있고, 식이섬유가 들어가 쉽게 포만감도 생성된다고 하네요.


3.혈관건강

도토리 역시 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는데요. 혈관 내 유해한 콜레스테롤과 나트륨 성분을 외부로 배출 시켜준다고 합니다.


4.노화방지

도토리의 타닌 성분은 활성산소를 없애주고, 손상된 세포재생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노화를 방지해준다고 해요~


5.간건강

도토리에는 특이하게 아콘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 성분은 뛰어난 해독작용으로 간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독소 및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도토리 묵밥은 하절기(5~10월)에는 시원한 묵밥도 주문할 수 있으니 

여름에 가서 드실 분들은 이 점 참고해주세요~

겨울에는 따뜻한 묵밥을 드실 수 있어요!


또한 도토리 빈대떡에는 엄청나게 많은 채소들과 표고버섯이 들어가 있었어요. 

따로 양념장에 안찍어 먹어도 간이 적절하게 배어있었어요!




그외 밑반찬들도 맛있어서 놀랐는데요.

멸치 고등어 같은 경우는 조금 뒤에 나오길래 깜빡하신건가 했는데,

알고보니 밑반찬도 바로바로 만들어서 주시기 때문에 조금 늦게 나오는 것이 있다고 해요

그래서 모든 음식을 정말 따뜻하고 건강하게 먹었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었습니다~


P.S 영업시작시간이 11:00인데 11:30분즘에 도착해서 식사를 했어요. 그런데 30분즘 지나니까 거의 식당이 가득차려고 하더라구요. 특히 주차공간은 없었던거 같아요. 

이 부분 참고하시고 조금 일찍 식사를 하시는걸 권장드려요.


아니면 저녁에 가셔서 드셔도 될 것 같아요! 한옥에 조명이 들어오면 그만큼 운치있는것도 없거든요! 



[글 래퍼런스]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5501

https://www.chungju.go.kr/tour/contents.do?key=1357

https://bzit.tistory.com/285

안녕하세요~ 

이번글에서는 충주 살미면 근방에 있는 이색적인 커피박물관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해요!


오픈시간: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충주커피박물관에 도착하시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기분이 좋아져요~

또한 산책로도 있어서 커피를 마신 후 산책도 할 수 있답니다!








주차를 하시고 이쪽 방향으로 가시면 커피를 마시는 곳이 나와요!






주차장이 두 곳이 있는데 아래에 위치한 곳은 커피와 관련없는곳이에요~








이곳이 커피를 마실 수 있는 곳이랍니다~

충주커피박물관은 커피에 관심이 많으신 주인분이 개인으로 운영한다고 해요~







메뉴판 부터 참 특이하죠? ㅎㅎ











여러 메뉴가 있는데 저는 애플 시나몬을 주문했어요. 이곳에는 여우커피가 유명하다고 하는데 커피를 마시면 잠을 제대로 못자서 주문을 못했어요ㅜㅜ

사과는 당연히 충주의 특산물이고 계피는 따뜻한 성분의 음식이라 저에게 굉장히 도움이 되는 음식이라 선택했어요~!


(다음에 갈때는 사진을 한쪽씩 찍어야 겠어요;;;;)







그런데 주문하고 조금 돌아보니 뜨둥.....

여우커피는 카페인이 없다고 하네요 ㅜㅜ 주인분께 여쭤보니 여우커피는 커피가 포함되어 있는게 아니라 현미, 여주, 우엉을 커피와 같은 기법으로 만들어 낸다고 하여 여우커피라고 했다고 해요.


충주는 당뇨 바이오 특화 도시라서 충주커피박물관과 충주농업기술센터가 협력하여 오랜 연구 끝에 당뇨에 좋은 차로 여주커피를 특허출원했다고 해요. 카페인이 없어 임산부를 포함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고 합니다!

 





내부에도 신기한 물건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었어요~

(사진 초점이....)






겨울에 한 번 방문했을 때 저 난로 인해 엄청 따뜻했던 기억이 있네요~





수제애플파이까지 추가했어요~







커피 주문을 하면 커피박물관을 들어갈 수 있는 입장권을 주세요!

입장권 뒤에는 전체 위치가 나오네요. 

(

    






커피를 마시고 나오시면 아래 화살표 방향으로 가시면 커피 박물관이 있어요












커피 박물관에 왔으니 커피에 대한 간단한 역사와 어떻게 커피를 만드는지 알아보도록 할까요?





대략 11세기 아프리카에서 재배된 커피는 12~16세기 이슬람권 사람들에게 전파되었어요. 이때 다수의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고 사교활동하던 공간(방)이 있었는데 이곳을 커피하우스라고 해요. 오늘날의 카페같은 느낌인거죠. 17세기 커피가 유럽으로 전파되자 커피, 커피하우스 등 커피와 관련된 문화가 꽃피기 시작했어요. 




18세기 미국에서는 'Green Dragon Inn, Tavern and Coffeehouse'라는 커피하우스에서 보스턴 차 사건이 일어났고, Merchant Coffehouse(현재: City Tavern으로 이름변경) 에서 미국 독립선언문이 최초로 일반 대중 앞에서 큰 소리로 낭독되었다고 해요~


19세기 일제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고자 고종황제가 러시아로 피신한 사건(아관파천)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러시아 공사관으로 일하던 독일 국적의 프랑스인이 고종에게 커피 맛을 알게 해주었다고 합니다~



커피는 열대기후에서만 재배가 되는데, 아래 사진처럼 커피가 재배되는 지역을 커피벨트라고 한답니다~

 






 커피의 원료는 열매에서 추출이 되는데요. 

커피나무에서 커피열매를 맺게 되는데, 체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커피체리라 불리는 이 열매의 맛으로 로스팅한 커피의 향미를 예측할 수 도 있다고 해요. 예를 들어, 단맛과 과일향이 강한 커피체리는 로스팅한 후에도 단맛을 특성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림1>




커피체리 내부에 있는 생두(Coffee bean; 볶지 않은 커피콩; 원두)가 커피의 원료가 되는데, 생두는 품종, 재배지역, 기후, 경작 방식 등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진다고 해요~


<그림2>






우리가 마시는 커피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친다고해요~


1~3번

앞서 언급한대로 커피열매(체리)중에서 좋은 것들만 선별합니다


4번

선별된 커피체리에서 커피원료인 생두(원두)를 추출해야 하는데, 이 방식에는 여러 방식이 있어요. 대표적으로는 Natural processing, Washed processing이 있어요. 


Natural processing은 건식방식으로 커피체리를 그대로 건조시는 방식이에요. 가공이 끝나 커피체리는 수분 함유율이 50%대인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수분 함유율을 12%까지 낮춰주는 건조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해요. 수분함유율이 10~11%로 너무 건조하면 탈곡(milling)과정에서 생두가 깨지기 쉽다고 하니 세밀한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합니다~


Washed processing은 물을 사용해 과육을 벗겨내 생두 본연의 맛을 살리는 방식이에요.


5번

위와 같은 작업을 마치면 생두(원두)를 감싸고 있는 껍질들을 벗겨내는 milling(탈곡) 과정을 거치면 커피의 원료로 쓰이는 생두(원두)를 얻게 됩니다~

 

6번

생두의 크기, 밀도, 색깔, 수분 함유율 등에 의해 생두(원두) 등급을 분류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grading(선별)이라고 합니다. 만약 생두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지 않게 섞여 있으면 로스팅할때 고른 로스팅이 된다고 하지 않는다고 해요~. Grading을 마친 원두는 상품성을 갖게되고 수출(Shipping)되게 됩니다.









7번









8번


그라인딩을 하는 방식에는 기계식 방식이 있고 사람이 직접 핸드드립으로 그라인딩 하는 방식이 있다고해요. 원두가 미세하게 분쇄될수록 커피의 향은 더욱 진해지는데, 요즘에야 에스프레소 전용 그라인더들이 있어서 굉장히 원두를 잘게 분쇄시켜주지만 본래는 핸드드립과 같이 방식이 전통적인 기계식 방식에 비해 더욱 고운 커피가루를 만들어 냈었다고 해요. (그래서 몇몇 분들은 핸드드립 커피를 즐겨하셨나봐요~)








10번

그라인더 과정을 통해 곱게 갈린 원두는 포장(packing)되어 여러 상점에 배달이 된답니다. 그리고 커피전문점들은 받은 커피가루를 이용해 brewing을 하게되고, 우리가 마실 수 있는 커피가 탄생하는것이죠.


Brewing하는 방식에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최초의 brewing 방식이었던 터키식커피, 진공흡입 방식의 사이폰 커피,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짧은시간에 압축시킨 에스프레소 커피가 있어요










터키식 커피








사이폰 커피






나혼자산다에서도 사이폰 추출방식을 통한 커피가 소개된 바 있네요~ 






에스프레소 커피


오늘날 가장 많이 알려져있는 에스프레소 추출 방식이에요~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빠른시간내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에요. 빠른시간에 커피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할 수 있게 되었어요. 에스프레소의 영어식 표현인 express는 에스프레소 추출 방식이 빠르다는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에요~



  


 빠른 시간내에 추출 해야 하기 때문에 커피 입자가 굉장히 미세해야 한다고해요. 그래서 빠른 시간에서도 향이 깊은 커피를 추출 할 수 있게 되는거랍니다~




아래 사진은 박물관에서 찍은 옛날 에스프레소 기계에요~









충주 커피박물관을 방문하면서 커피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알게되어서 좋았던거 같아요~ ㅎㅎ

방문하실때 꼭! 시간 잘 확인하시고 월요일은 매주 휴무라는 사실도 인지하시면 좋을것 같아요~




P.S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면 커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아실 수 있으실거에요~








[그림 래퍼런스]

그림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unsang38&logNo=220628412658

그림2

https://uxd.so/h/%EC%BB%A4%ED%94%BC-%ED%95%9C-%EC%9E%94%EC%9D%98-%EC%97%AC%EC%9C%A0/


[글 래퍼런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1/2016122100901.html

http://baristanews.co.kr/edu/%EC%BB%A4%ED%94%BC-%EC%B2%B4%EB%A6%AC%EB%8A%94-%EB%AC%B4%EC%8A%A8-%EB%A7%9B%EC%9D%BC%EA%B9%8C/

http://baristarules.maeil.com/blog/203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table&logNo=221035153186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충주 살미면 근방에 있는 맛있는 음식점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한국교통대에서 차를타면 11분거리에 있어요.


이곳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라 보통 예약을 하고 간다고 해요. 




명산가든에 도착하면 주변이 전부 산이라 도착하자마자 기분이 상쾌해지시는걸 느끼실거에요~






주차할 장소도 많은것 같긴한데, 점심시간이 한창인 경우에는 공간이 부족할 수 도 있겠다 싶었어요. 

(저는 사람 붐비는걸 별로 안좋아해서 11:30분에 도착해서 점심을 먹었답니다~)







입구에 도착해서 사진을 한 장 찍었어요~








식당 내부는 칸막이로 공간이 분리되어 있고 아래 사진처럼 바닥에 앉아서 먹는 곳도 있고, 의자에 앉아서 먹는 곳도 있답니다~






저는 도착해서 명산정식을 주문했어요~







정식은 굉장히 다양한 음식들이 나오는데요~

하나하나 음식이 맛도 좋고, 전체적으로 나오는 음식의 영양소 밸런스가 좋다고 느꼈어요!






생선에는 오메가3가 풍부해요. 

오메가3

- 혈관이 딱딱해 지는걸 방지: 혈관이 딱딱해지면 혈액에 의한 압력을 못버틸 가능성이 커짐

- 혈액의 응고 완화 

- 혈압 완화: 혈압은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인데 혈관이 딱딱해지는 걸 막아주어 혈관을 탄력있게 만들어주니까 당연히 압력이 낮아지겠죠!

- 그외 몸속의 염증, 면역력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해요.





더덕구이는 참 맛 있었는데요.

더덕에는 사포닌, 폴리페놀, 이눌린 등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해요~

- 사포닌 성분은 폐기능을 증진시키고 기관지 내 점막을 보호하는데 뛰어난 작용을 합니다 (특히 기침, 가래에 좋아요~)

- 사포닌은 혈관 내 유해한 콜레스테롤을 배출시켜주고, 독서와 노폐물을 제거시켜주어 혈관건강에 이롭습니다

- 사포닌은 오메가3와 같이 몸속 염증을 제거해주는 역할도 한다고해요.

- 그외 피로회복, 간기능증진(독소배출), 당뇨개선, 변비 및 다이터트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곳은 특히나 나물이 굉장히 맛있는데요. 적당한 그릇에 적당한 양이 나와 정갈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맛도 굉장히 훌륭했고 지인에게 들은바에 의하면 된장, 고추장, 간장 등 장류는 숙성시켜 사용하고 산나물은 인근 지역에서 채취한다고 들었어요!








나물이 맛있고 굉장히 다양해서 몸이 정말 건강해지는 기분이에요!






방문하실때는 꼭 영업시간을 확인하시고, 미리예약을 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이번글은 모든 컴퓨터가 윈도우 환경이라는 가정하에 설명을 드릴거에요!


원격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전제 조건이 있어요!


!!포트!!


포트라는건 앞선 "9.원격접속" 편에서 설명 드렸기 때문에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을게요~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원격대상이 되는 컴퓨터가 위치해 있는 내부접속망에서 외부 포트를 열어주어야 해요! 



[Case1. 외부에서 내부 사설망에 원격접속 하는 경우]


1) 원격접속 대상이되는 컴퓨터에서 작업할 순서


1-1) 내부 사설망에서 열려있는 포트를 확인한다. --> 학교나 기업이라면 담당자에게 물어보면 이미 열려있는 포트를 알려주거나, 포트오픈 신청서 같은 양식을 작성하면 요청한 포트를 열어줄거에요.



1-2) 내부 사설망이 ipTIME과 같은 공유기로 연결이 되어 있다면 ipTIME에 접속해 포트포워드 설정을 해줘야 한다.


- 인터넷 브라우저에 192.168.0.1 를 입력하고 로그인하여 접속한다.



- 관리 도구를 클릭한다




- IP 주소 확인

윈도우키 --> cmd (명령어 프롬프트) --> ipconfig 명령어 입력 후 IP 주소 확인



-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 외부포트, 내부포트, IP주소 입력


이렇게 하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 완성




1-3) 내 PC -> 속성






1-4) 원격설정



1-5)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 클릭




1-6) 외부 IP 확인







2)외부에서 사용할 컴퓨터(내부 사설망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 작업 순서



2-1) "윈도우+r" --> mstsc 명령어 입력




2-2) '1-6)'에서 확인했던 외부IP와 승인된port 입력

ex) 외부IP주소:1.1.1.1/ 승인된port:20 --> 1.1.1.1:20 입력





2-3) 이 부분은 옵션이라 설정해주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약 듀얼 모니터를 쓰고 있다면 그냥 연결할 시, 한쪽 모니터에는 원격접속된 컴퓨터의 화면이 나오고 다른 한 쪽의 모니터에는 내가 현재 사용하고 있었던 컴퓨터의 화면이 나올거에요.


그런데 만약 듀얼 모니터 전부 원격접속된 컴퓨터의 화면을 보고 싶다면 '옵션표시'->'디스플레이'->모든 모니터를 원격 세션에 사용'클릭 해주시면 되요~







[Case2. 내부 사설망 내에서 원격접속 하는 경우]


만일 내부 사설망으로 연결된 컴퓨터끼리 원격접속을 하는 경우에는 '1-2)'에서 확인한 원격접속 대상이되는 내부 IP주소만 입력 하면 됩니다.



ex) ip주소= 1.1.1.1 --> 1.1.1.1 입력



더 많은 원격접속 방식이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식을 소개시켜드렸어요! 다음글에서는 우분투 환경에서 우분투 환경으로 원격접속 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할게요!

안녕하세요~


이번글에서는 앞서 언급한 IP의 종류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앞서 IP가 물리적 위치의 고유 ID라고 했는데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시는 분들 보면 192.168.0.1, 192.168.0.2, 192.168.0.3, ... 이런 IP 주소들을 보신적이 있을거에요. 이상하게 경기도에서도 저런 IP를 쓰고, 부산에서도 똑같은 IP를 쓰고 ... 이게 어떻게 된것일까요?


지금부터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IP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1. IP 종류


간단하게 IP 종류를 나눈다면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어요.




1) 공인IP VS 사설IP


1-1)공인IP


앞서 IP가 물리적 위치의 고유 ID 라고 말했던 의미는 공인IP를 의미한거에요. 

ICANN이라는 국제기구가 국가별로 사용할 IP 대역을 관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KISA가 국내IP 대역을 관리하고 있어요. 



1-2)사설IP


점점 시대가 발전하면서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할수 있는 장치들이 증가하게 되었어요. 공인IP를 이용하면 금방 IP가 소진되기 때문에 사설IP라는 개념을 만들게 되었어요.


아래 그림을 보면 공인IP는 외부망들로 연결이 되어있는걸 알 수 있고, 사설IP는 내부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걸 알고 있어요 (그래서 종종 외부IP를 공인IP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사설IP를 내부IP라고 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림1>



사설 IP를 사용하면 중복된 IP를 사용할 수 있어요. 먼저 사설IP 클래스를 살펴볼게요.


A클래스: 10.0.0.0 ~ 10.255.255.255

B클래스: 172.16.0.0 ~172.31.255.255

C클래스: 192.168.0.0~192.168.255.255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하나의 공인IP당 위에 언급된 사설IP를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어요. NAT 기술을 이용하면 가능하다고 합니다만 여기서는 기술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을게요!


예를 들어, 제가 데이터 학과가 있다고 해볼게요. 이곳에는 201, 202, 203호 연구실이 있어요. 각 연구실에는 공인IP가 있어요. 제가 있는 연구실은 202호인데 이곳에 할당된 공인IP를 알아볼게요. 네이버에서 '내 아이피'라고 검색하면 쉽게 검색할 수 있어요. 일단 맨 뒷자리가 8이네요.




그리고 제 연구실(202호)의 공인IP에 ipTIME 공유기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어요. 저는 ipTIME에서 사설IP를 설정해 주었어요. 사설IP의 게이트웨이인 http://192.168.0.1/ IP주소를 웹 브라우저에 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뜰거에요. 이곳에서 제 연구실안에 있는 10대의 컴퓨터에 각각 사설IP를 할당해 줄거에요. 예를 들면, A 컴퓨터에는 192.168.0.2, 제 컴퓨터에는 192.169.0.3 이런식으로 말이죠.



 

CMD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를 치면 사설IP주소가 검색돼요. 설정해준대로 192.168.0.3 사설IP가 검색되는걸 확인할 수 있어요!







2) 고정 ip VS 동적 ip


2-1) 고정 ip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ip는 고정ip 에요. 즉 해당 위치에 하나의 고유 ip 주소가 부여되고 시간에 따라 변경되지 않아요. 만약 네이버 서버의 ip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바뀐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바뀌는 순간에 무언가를 저장하거나 한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이렇게 중요한 서버로 사용되는 IP는 고정ip로 사용한답니다.



2-2) 동적 ip


그런데 고정ip에는 한 가지 단점이 있어요. 예를 들어, 한 부서에 ip가 3개이고 고정ip로 사용하고 있다면, 컴퓨터 3대에 각각 고정ip를 할당하기 때문에 더 많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을거에요. 그런데 동적ip를 쓰면 3개의 공인ip를 8대의 컴퓨터가 동적으로 돌아가면서 쓸 수 있어요. 안쓰고 있는 컴퓨터에서는 ip할당이 안되고 인터넷을 쓰는 컴퓨터에 ip를 할당하는 식인거죠. 


정리하면, 서버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접속하고 중요한 작업물들을 네트워크 상에서 저장할때는 고정IP를 사용하고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공인IP는 동적(유동)ip로 부여하고, 공인ip를 이용해 사용하는 사설ip를 유동 또는 고정ip로 부여하게 돼요. 


보통 KT, SKT, LG U+ 같은 ISP업체들이 인터넷을 설치해주고 공인IP를 동적ip로 할당해주는데, 이때 동적ip로 할당해주려면 그때 그때 마다 할당시켜주어야 하니까 이러한 작업들을 운영 또는 관리를 해주는게 필요하겠죠? 이렇게 동적ip를 운영 또는 관리를 해주는 시스템을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ocol)이라고 해요. 그리고 DHCP 기능을 하는 서버를 DHCP 서버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세요~







3) 공유기


앞서 공인 ip를 동적ip로 할당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는데, 사설IP도 마찬가지로 동적ip로 할당해 이용할 수 있어요. 동적 ip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DHCP 서버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기기가 공유기입니다. 그래서 공유기에 공인IP가 할당된 인터넷 선을 연결하고, 공유기에 맞물린 컴퓨터들에는 사설ip를 부여해주어 사설 네트워크(망)를 만들어주게 됩니다. 


공유기에는 WAN, LAN이라는 글자가 있는지 WAN은 광역(Wide area) 네트워크를 의미하기 때문에 LAN선을 이용해 공인IP와 연결시키면 되고, LAN은 국지적(Local area) 네트워크를 의미하기 때문에 공유기에 연결할 컴퓨터들을 LAN선으로 연결시키면 됩니다.  


공유기 또한 외부IP와 연결되기 때문에 라우터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공유기 자체에도 IP를 할당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할당되는 IP주소를 게이트웨이 주소라고 합니다. 앞서 설명한 게이트웨이 주소와 동일한데 공유기를 통해 외부IP와 내부IP를 연결시킬 수 있는 gate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림2>




<그림3>


우리가 공유기와 컴퓨터를 연결시켜주면 자동으로 컴퓨터에 ip 주소가 부여되는데요. 이것이 공유기에 탑재된 DHCP 기능을 이용해 동적으로 ip가 할당 시켜준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또한 새로운 컴퓨터를 두 대 설치하여 ip주소를 할당하려고 할때, 현재 1, 2, 5라는 ip가 사용되고 있다면 공유기(DHCP 서버)가 자신과 연결된 컴퓨터의 ip주소를 검색하고 빈자리에 해당하는 3, 4를 부여해주게 됩니다.

DHCP 서버에 따라 7일 또는 한달에 한 번 동적으로 ip 주소가 갱신됩니다. (종종 컴퓨터 LAN 선이 빠져있어서 다시 꽂으면 사설ip 주소가 바뀌는 경우가 있어요~)


하지만 공유기에서는 사설ip를 고정시켜 고정ip 운영방식으로 설정해줄 수 도 있어요. 만약 내가 원격접속해서 사용하려는 컴퓨터가 있는데 매번 동적으로 ip가 바뀐다면 접속이 끊기거나 재접속할수가 없겠죠?







2. 포트 포워딩


본래 포트라는 용어는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어지만 보통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IP) 상에서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개념이에요. 


포트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은 하드웨어에서 사용할때랑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할때랑 달라지긴 하지만,

이곳에서는 정말 단순하게 포트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할거에요.


여기서부터 원격접속의 원리가 설명이 되니 집중해서 봐주세요~!


앞서 우리는 공인IP와 사설IP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만약 우리집의 컴퓨터에서 내가 있는 회사의 컴퓨터에 접속하려면 아래와 같은 순서를 거치게 될거에요.


"우리집 사설 IP -> 우리집 공인 IP -> 회사 공인 IP -> 회사 사설 IP"


그런데 앞서 사설 IP는 중복이 가능하다고 했었죠? 그래서 우리집 사설 IP에서 회사 사설 IP로 바로 접속하지는 못하고 우리집 공인 IP와 회사 공인 IP를 거쳐야만 하는데, 만약 우리집에서 회사 사설IP로 원격접속을 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회사 사설 IP로 바로 접속이 불가능하니 회사 공인 IP로 먼저 접속해야겠죠?


그런데 문제는 회사 사설 IP 주소를 모른다는 점이에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것이 포트포워딩이라는 개념이에요!


공유기에서는 외부에서 A라는 포트가 들어올때, 사설 IP에 B라는 포트로 연결하도록 설정해 줄 수 있어요. 이런 과정이 포트를 전달(forwarding)하는것 처럼 보인다고 해서 포트 포워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어요. 


아래 그림을 참고해 볼게요. 공유기에 공인 IP로 들어오는 80번의 포트가 들어오면 사설 IP 192.168.0.2에 연결시켜주기 위해 192.168.0.2 IP주소에 80번 포트를 부여해줍니다. 이렇게 설정해주면, 우리집에서 회사의 컴퓨터1에 해당하는 사설IP에 원격접속할때, 12.34.56.78:80 이라고 입력해주면 먼저 회사 공인 IP역할을 하는 공유기에 접속하게되고, 회사 공유기에는 외부에서 80번 포트가 들어오면 192.168.0.2의 80번 포트로 연결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니 컴퓨터1로 접속하게 되는거에요. 


뭔가 말이 복잡해진거 같긴한데, 그냥 외부에서 사설IP를 접근할때 포트를 이용한다라고만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아요.


<그림3>



아래 그림에서는 외부에서 8080 포트를 이용해 접속할 때, 192.168.0.3 사설IP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고, 8081 포트를 이용해 접속할 때는 192.168.0.4 사설 IP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네요.

<그림4>



아래그림은 실제 ipTIME에서 포트포워딩 설정해주는 방식이에요 (자세한건 윈도우 원격접속 편을 참고해주세요~). "외부에서 공인IP:8081 방식으로 접속하면 내부 사설IP 192.168.0.4에 접근하도록 해주는데 이때 접근수단을 내부포트 80을 통해서 하도록 한다"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림5>





 

이번장까지해서 원격접속에 대한 배경지식들을 알아보았어요. 그럼 다음장부터 본격적으로 원격접속 실습을 해보도록할게요!





[글 래퍼런스]

http://gotocloud.co.kr/?p=320

https://lamanus.kr/59

https://ydeer.tistory.com/18

https://run-it.tistory.com/19


[그림 래퍼런스]

그림1

https://gominless.tistory.com/entry/%EB%82%B4%EB%B6%80-%EB%84%A4%ED%8A%B8%EC%9B%8C%ED%81%AC-%EC%82%AC%EC%84%A4-IP-%EC%99%B8%EB%B6%80-%EB%84%A4%ED%8A%B8%EC%9B%8C%ED%81%AC-%EA%B3%B5%EC%9D%B8-IP%EC%97%90-%EB%8C%80%ED%95%9C-%EC%9D%B4%ED%95%B4

그림2

https://opentutorials.org/course/3265/20033

그림3

https://lamanus.kr/59

그림4,5

https://opentutorials.org/course/3265/20038


안녕하세요~


딥러닝을 사용하다보면 컴퓨터 한대로 작업하기 힘든 경우가 많이 있을거에요.

또한 이미지 또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해 딥러닝 학습을 시키면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업무가 끝나고 집에 도착해서 학습이 끝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러한 문제 때문에 딥러닝 서버를 구성해 원격으로 학습을 시키고 테스트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원격 접속의 원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1. TCP/IP 4계층 (or OSI 7계층)


컴퓨터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통신을 하는건 알고있죠? 

그런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주고 받는지 알고 계신가요?


세계 전문가들은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때 꼭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 했어요. 


<그림1>


흔히 이것을 OSI 7계층 또는 TCP/IP 계층이라고 해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고 간단하게만 언급하자면 OSI 7계층, TCP/IP 두 용어는 모두 컴퓨터간 통신을 위한 합의된 규약이라고 보시면 되요. 이전에는 OSI 7계층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좀 더 간소화시키기 위해 TCP/IP 규약이 나오게 되었답니다. 


<그림2>


예를 들어, A라는 컴퓨터에서 B라는 컴퓨터로 정보를 전달하려면 아래 그림처럼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 송신, 수신하게 됩니다.


<그림3. 01001100011은 랜선과 같은 물리적인 전기 선을 의미>


좀 더 들여다보면 아래그림 처럼 각각의 계층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들이 있어요. 아래그림을 보면 상위 레이어에서 점점 하위 레이어에 필요한 데이터 정보들이 추가 되는 것이 보이시죠? 쉽게 말하자면 TCP/UDP 레이어에서는 반드시 Upper layer의 정보가 필요하고, IP 레이어에서는 TCP/UDP, Upper 레이어의 정보들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어요.


<그림4>


원격접속을 위한 지식을 얻기 위해 어떤 계층을 눈여겨보면 될까요? 먼저 제일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내 컴퓨터의 위치정보와 원격접속을 하기위한 컴퓨터의 위치정보일거에요.


이러한 위치정보를 생성해주는 곳이 IP 계층이랍니다. IP 레이어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형식은 "IP header + 이전 상위 레이어의 정보"에요. 아래 그림에서 IP header를 보시면 source address, destination  address 부분이 있죠? 이것이 통신을 위한 컴퓨터들의 위치정보를 표현하는것이라고 보시면되요.


<그림5>


IP 계층이 원격접속을 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가 들어있다는걸 확인했으니, 좀 더 자세히 I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2. IP (Internet Protocol)


인터넷은 말 그대로 'inter(상호간의)+net(망)' 즉, 서로를 (연결해주는 거대한) 망이라고 보시면 되요.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렇게 서로 연결해주기 위해서 제일 중요한건 컴퓨터들이 위치한 곳이 어디인지 알고 있어야 해요. 그리고 위치마다 고유 ID(식별자)가 있어야겠죠? 여기서 혼동해선 안되는 점이 컴퓨터의 고유 ID를 알아야 하는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위치한 '위치 ID'라는 거에요! 그리고 이러한 '위치 ID'를 오늘날 'IP주소'라고 부른답니다.


<그림6>



3) IP 주소


IP주소는 현재 IPv4, IPv6 형식으로 나뉘어 져있는데 이곳에서는 IPv4를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IPv4는 4개 영역으로 구분이 됩니다. 각 영역당 4bit씩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각 영역당 0~255(=2^4) 범위를 포함하고 있죠.


<그림7>


IP 주소는 크게 5가지 클래스로 나눌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가정, 학교 같은 곳은 C클래스에 해당되요. 그래서 대부분 집이나 학교같은 곳에서 '윈도우키->cmd->ipconfig 명령어 입력'을 하면 192.~.~.~ 와 같은 주소가 출력될거에요. 하지만 네이버  같은 곳은 대형 통신망에 해당하기 때문에 A클래스에 해당되요. (인터넷 브라우저에 125.209.222.141 IP 주소를 입력하면 네이버 서버에 접속하게 될거에요!) 참고로 D,E 클래스는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것이랍니다~


그림8,9를 보면 '호스트 수', '서브넷 마스크'라는 용어가 나와 있을거에요. 그럼 지금부터 차례대로 이해해 보도록 할게요.


<그림8>



<그림9>





4) Network ID, Host ID


위와 같이 네트워크를 클래스로 나눈 이유는 뭘까요? 예를들어 대형통신망과 가정에서쓰는 통신망을 관리하는 체계가 같다면 어떻게 될까요? 대형통신망에서는 좀 더 복잡한 관리 기법이 필요하지만 가정에서는 그 정도로 복잡한 관리 기법이 필요하지 않을거에요. 그래서 통신망이 복잡한 정도에 따라서 클래스를 나누고 그에 맞게 네트워크 관리를 해준다면 좀 더 효율적이겠죠?


위와 같은 관점에서 IP주소는 좀 더 세부적으로 Network ID, Host ID 부분으로 나뉜답니다. 그리고 '그림9'를 보시면 Network ID 부분이 네트워크 클래스를 결정짓는걸 볼 수 있어요. 클래스A는 Network ID가 127개에요. 그렇다면 Host ID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대형통신망이 설치된 지역 한곳에 Network ID 하나가 할당되고, Network ID 하나당 2^24(Host ID -> 3개의 8bit 조합) 개의 Host ID가 부여되요. 예를 들어, 네이버에서 자신들이 이용하는 IP주소들이 있고, 구글 같은 곳에서 사용하는 IP 주소가 있을거에요. 관리차원에서 보면 네이버에서 사용되는 IP주소들과 구글이 사용하는 IP주소가 분류되면 더 효율적이겠죠? 이렇듯, 네이버라는 대형통신망 회사가 위치한 곳은 Network ID를 갖게되고, 네이버에서 따로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들이 Host ID가 되는거에요. 당연히 통신망이 거대한 회사일수록 자신들이 갖아야 할 IP주소(Host ID)가 많아야겠죠?? 그래서 클래스마다 Host ID 개수가 차이가 나는거에요! 


<그림10>




5) 서브넷팅 (Subnetting)과 게이트웨이, 라우터


서브넷팅을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에요.


첫 번째는 IP주소의 낭비를 막기 위해서에요. 예를들어, A클래스에 해당하는 네이버가 사용할 수 있는 Host ID가 2^24개인데, 2^12개만 사용한다고 하면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IP주소는 낭비가 되겠죠? 만약, 네이버 회사에 하나의 Network ID만 부여되었다고 했을때, 2^24 Host ID 중 2^12 Host ID만 사용한다면 남는 IP 주소들은 다른 곳에서 사용가능하겠죠?


두 번째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에요. 예를 들어, 네이버에서 할당 받은 Network ID 하나로 2^24개의 Host ID를 관리한다면 굉장히 복잡할 거에요. 네이버에서도 네트워크가 굉장히 중요한 부서가 있고 네트워크를 자주 활용하지 않은 부서들이 있을거에요. 또한 부서들끼리의 물리적 위치도 서로 다르겠죠. 이때 네이버의 Network ID의 Host ID 들을 부서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여 관리해주면 네트워크 효율이 올라갈 거에요.



다시 윗 그림을 참고해서 설명해볼게요. 예를들어, 우리학교의 컴퓨터학부(C클래스)가 192.1.1.0이라는 Network ID를 할당받았다고 할게요. 그런데 컴퓨터학부에는 소프트웨어 학과, 데이터과학 학과, 임베디드 학과, 네트워크 학과로 나뉘어있어요. 그리고 컴퓨터학부는 C클래스이기 때문에 255개의 Host ID를 부여 받을 수 있어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나누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IP주소를 공평하게 분할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분할하는 기법을 서브넷팅이라고 하고, 분할된 주소의 첫 번째 주소에 해당하는 (빨간색) 부분이 Network ID와 비슷한 역할을 하며 이를 서브 네트워크 주소라고 해요. Network Id가 Host Id를 관리하는 것처럼 서브넷팅으로 나뉜 Host Id들은 서브 네트워크 주소(ID)가 관라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 ID가 64개씩의 Host ID를 관리하겠네요! 


소프트웨어학과: 192.1.1.0~192.1.1.63

데이터과학학과: 192.1.1.64~192.1.1.127

임베디드 학과: 192.1.1.128~192.1.1.191

네트워크 학과: 192.1.1.192~192.1.1.255


참고로 이렇게 서브넷팅으로 나뉘어진 영역(학과)들끼리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해요.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 영역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장치(device)'이고, 다른 네트워크 영역들의 시작점이 되는 IP게이트웨이라고 합니다. 아래 4개의 학과에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게이트웨이이고 라우터 장비를 통해 통신된다고 이해하면 되겠어요. 예를들어, 데이터과학과의 192.1.1.80에서 소프트웨어학과의 192.1.1.40 IP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전송되요.


192.1.1.80 -> 192.1.1.64 (데이터과학학과 게이트웨이) -> 라우터 -> 192.1.1.0 (소프트웨어학과 게이트웨이) -> 192.1.1.80


 



6) 서브넷마스크


서브넷마스크는 IP주소를 보고 Network ID를 알아내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에요. 예를 들어, 클래스 A의 클래스가 125.209.222.141 이라고 했을때, 서브넷마스크가 255.0.0이라고 한다면 Network ID는 어떻게 될까요? 방법은 10진수를 2진수로 변경해 AND 연산을 하면 되요.


125.209.222.141 --> 1111101.11010001.11011110.10001101

255.0.0.0          --> 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AND ============================

                           1111101.00000000.00000000.00000000 


125.209.222.141 의 Network ID는 125.0.0.0이라는걸 알게되었어요. 그렇다면 서브네팅된 IP들은 서브넷마스크가 어떻게 구성될까요? 위에서 언급한 예시를 통해 다시 설명해볼게요.


아래예시는 C클래스에 속해있다는걸 알 수 있어서요. 그래서 Network ID에 24bit가 할당되고, Host ID에 8bit가 할당되는걸 알 수 있죠. 하지만 서브넷팅 기술을 이용하여 4개의 sub network id를 만들어 주었어요. 이때 sub network id를 표현하기 위해서 Host ID 8bit에서 상위 2bit가 사용된것을 볼 수 있었어요.


소프트웨어학과: 192.1.1.0 --> 11000000.00000001.00000001.00000000

데이터과학학과: 192.1.1.64--> 11000000.00000001.00000001.01000000

임베디드 학과: 192.1.1.128--> 11000000.00000001.00000001.10000000

네트워크 학과: 192.1.1.61-->11000000.00000001.00000001.11000000


기본 C클래스 마스크에 sub network를 만들어주기 위해사용된 두 비트를 결합하면 각 sub network에 해당하는 서브넷 마스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여기 예시에서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10진수 표현으로 255.255.255.192가 되는걸 확인 할 수 있어요. 서브넷팅과 서브넷 마스크를 위해 26개의 bit를 사용한걸 확인 할 수 있네요.


만약 C클래스에서 Host ID의 8bit 중에 상위 한 개의 비트만 서브넷팅으로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서브넷팅을 위해 25bit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28 이되고, Host IP의 범위는 [0~127], [128~255]가 됩니다.


제가 지금 컴퓨터학부(192.1.1.0)의 데이터과학학과의 IP인 192.1.1.80 IP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면, 26개의 bit를 서브넷 마스크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요약해서 표현할 수 있어요.

192.1.1.80/25 






3. DNS 서버


마지막으로는 상식 개념으로 DNS 서버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CMD 창에 ipconfig /all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DNS 서버에 대한 정보도 ip주소로 출력이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바에 대해서 간단히 기술해 볼게요.


DNS는 Domain Name System이에요. 즉 우리가 보통 네이버를 들어갈때 네이버의 ip주소를 브라우저 창에 입력하는것이 아니고, www.naver.com 이라는 영문으로 입력해서 들어갑니다. IP 주소마다 고유의 이름을 domain name이라고 하고 이러한 domain name을 ip주소로 변환시켜주는 시스템을 domain name system이라고 불러요.


예를 들어,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그림11>


[순서]

① domain name "www.example.com" 입력

② 케이블 인터넷 공급업체, DSL 광대역 공급업체 또는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관리하는 DNS 해석기로 라우팅 된다.


이 후 순서는 여기를 참고하시거나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중요한건 DNS(Domain Name System)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DNS 관련 서버가 필요한데, 예를들어 우리학교에서 DNS를 이용하려면 DNS 서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해요. 그래서 보통 DNS 서버가 우리학교의 외부 IP와 유사한걸 확인할 수 있어요 (외부IP에 대해서는 다음글에서 확인해 드릴게요~ 여기서는 그냥 우리학교의 고유IP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기초 중에서 IP와 관련된 기본 개념들을 알아보았어요!


다음글에서는 IP 종류들을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글 참조]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loodsky12&logNo=6017715974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http://korean-daeddo.blogspot.com/2016/01/blog-post_26.html

https://aws.amazon.com/ko/route53/what-is-dns/


[그림 래퍼런스]

그림1

https://www.onlinewebfonts.com/icon/500770

그림2

https://mrnamu.blogspot.com/2019/11/2-tcpip-4.html

그림3

https://www.youtube.com/watch?v=7zeiHfRB8SM

그림4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bm0996&logNo=22103396033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그림5

https://advancedinternettechnologies.wordpress.com/ipv4-header/

그림6

https://kr.123rf.com/photo_12041325_%EC%BB%B4%ED%93%A8%ED%84%B0-%ED%86%B5%EC%8B%A0-%EA%B0%9C%EB%85%90%EC%9E%85%EB%8B%88%EB%8B%A4-%EB%94%94%EC%A7%80%ED%84%B8-%EC%83%9D%EC%84%B1-%EB%90%9C-%EC%9D%B4%EB%AF%B8%EC%A7%80-.html

그림7

https://en.wikipedia.org/wiki/IPv4

그림8

https://www.youtube.com/watch?v=t_olN4OT9XY

그림9

https://engkimbs.tistory.com/622

그림10

http://korean-daeddo.blogspot.com/2015/12/ip.html

그림11

https://aws.amazon.com/ko/route53/what-is-dns/

안녕하세요~


앞선 글에서는 개념을 설명하려다 보니 굉장히 디테일하게 보여드렸는데요. 이번글에서는 vs code IDE로 빠르게 github에 파일을 업데이트 하는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Step1. 내가 업로드할 github repo 주소확인






Step2. 작업할 폴더 만들어주기







Step3. 해당 폴더에서 "git clone 업로드할git_repo주소" 입력






Step4. 내가 사용할 github repo에 있는 파일들이 다운로드 됨

(github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게 하기 위해, git clone을 한 것)






Step5. 해당 코드를 vs code IDE에서 열기






Step6. 코드 수정후 "ctrl+s"로 파일 저장하기 (*표시가 없어져야함)






Step7. 아래 git아이콘 클릭 -> refresh 버튼 클릭






Step8. add아이콘('+'모양) 클릭





Step9. commit아이콘(체크모양) 클릭하고



commit할 이름을 준다.






Step10. push하여 github에 코드를 업데이트






Step11. 업데이트 완성









간단하게 github에 코드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에 대해서 말씀드렸어요.


또 다른 방법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Recent posts